조남호 대표의 라이프코드 강연 “공허감을 충만감으로 바꾸는 것” 은, 현대인이 겪는 삶의 공허함을 어떻게 채울 것인가 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특히 30대 이후, 명확한 목표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시대에 어떻게 하면 공허감을 극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을지 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강연은 단순히 “열심히 살아라”는 메시지가 아니다.
오히려 기존의 잘못된 삶의 방식과 태도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며, 공허함을 없애는 새로운 시각과 실천 방법 을 알려준다.
⸻
공허감 (치열 X)
인생을 낭비한다=경험을 남겨둔다
=마음이 덜찬다/쓴다
충만감 (치열O)
인생을 산다=경험을 full로 한다
=마음을채운다/쓴다
1. 공허감의 원인과 이유
“왜 우리는 공허함을 느끼는가?”
1) 목표가 사라진시대
예전에는 인생의 목표가 비교적 명확했다.
•좋은 대학 입학
•안정적인 직장 취업
•승진과 연봉 상승
•결혼과 내 집 마련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이런 목표들이 더 이상 필수적인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제 더 이상 목표가 인생을 충만하게 만들어주지 않는 시대다.
그런데 문제는, 사회가 “목표 없이도 잘 사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방황하며 공허함을 느끼는 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라 당연한 일이다.
➡ 과거에는 “이 목표를 이루면 행복할 것이다”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러나 목표를 이루면 행복할 것이라 믿었지만, 목표를 이루고 나면 또 다른 공허함이 찾아온다.
➡ 목표 없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방황한다.
2) 공허감과 낭비의 빈도(단위)는 사람마다 다르다.
조남호 대표는 강연에서 공허함과 낭비의 빈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느낀다 고 설명한다.
(공허함=낭비)
예를 들어, 주식에서 50만원을 잃어야 낭비라고 느끼는 사람 도 있고, 단 1원만 잃어도 큰 낭비라고 생각하는 사람 도 있다.
이처럼 공허감도 사람마다 다르게 찾아온다.
•어떤 사람은 하루에도 몇 시간씩 공허함을 느낄 수 있고,
매순간 느낄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몇 달에 한 번 느낄 수도 있으며, 어떤 사람은 10년에 한 번 느낄 수도 있다.
위 사례인 다른말로하면,
공허함은 시간을 낭비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아까워하는 단위가 다른것이다.
단위가 큰수록 후회와 미련이 크다.
(30-40년 후라고 가정할시 지난 날을 후회와 미련으로 생각해서 더욱더 큰 후회감)
➡ 중요한 것은 공허함이 찾아오는 빈도가 아니라, 그 공허함을 어떻게 다루느냐이다.
➡ 공허함을 방치하면 ‘낭비’가 되고, 충만한 경험으로 채우면 ‘성장’이 된다.
즉, 공허함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으며, 이를 충만한 경험으로 바꾸는 태도가 중요하다.
⸻
2. 치열함의 재정의: 경험을 full로 한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 몰입하라
공허함을 없애려면 더 열심히 살아야 할까?
어떤 사람들은 공허함을 없애기 위해 더 열심히 살고,
더 많은 성과를 내려고 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오히려 공허함을 더 깊게 만든다.
1) 기존의 잘못된 치열함: 결과 중심의 사고방식
과거 산업화 시대에는 “치열하게 살아야 성공한다”는 믿음이 강했다.
•“이걸 해서 승진해야지”
•“이걸 해서 돈을 벌어야지”
•“이걸 해서 성과를 내야지”
이런 목표 중심의 태도는 계속해서 새로운 공허감을 만든다.
왜냐하면, 목표를 이루고 나면 또 다른 목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결국 끝없는 공허감의 반복
2) 새로운 치열함: 과정 중심의 몰입 (경험)
강연에서는 “과정에서 충만감을 찾는 치열함” 을 강조한다.
•성과를 위한 치열함이 아니라, 경험 자체를 즐기기 위한 치열함
•결과가 아니라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는 치열함
✅ 음식을 먹을 때는 온전히 그 맛과 식감을 느끼며 먹기
✅ 영화를 볼 때는 핸드폰을 보지 않고 100% 집중해서 보기
✅ 쉬는 것도 완전히 몰입해서 쉬기 (멍 때리기조차 온전히 하기)
✅ 예시: 김연아 선수는 단순히 메달을 따기 위해 스케이트를 탄 것이 아니라, 스케이팅 자체에서 기쁨을 느꼈다.
유행어인 "그냥 하는 거지 뭐"라는 말처럼 과정에 몰입했기에 번아웃 없이 지속할 수 있었다.
➡ 이렇게 하면, 충만감이 쌓이면서 공허함이 사라진다.
⸻
3. 공허감을 없애는 실천법: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강연의 핵심은 “실천 없이는 공허함을 채울 수 없다” 는 것이다.
이론을 아는 것만으로는 절대 변화가 없다.
“공허감을 충만감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실천해야 할까?”
1) 자아를 발견하는 경험 쌓기
공허감을 극복하는 첫 번째 방법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나 자신을 탐색하는 것 이다.
•어떤 경험은 행복과 기쁨 을 주고,
•어떤 경험은 불쾌하거나 불편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경험을 통해 ‘나’를 알아가는 과정 이다.
✅ 내가 좋아하는 것
✅ 내가 싫어하는 것
✅ 내가 몰입할 수 있는 것
➡ 이것들을 하나씩 발견해 나갈 때, 인생이 점점 선명해진다.
2) 과정에 집중하는 삶으로 전환하기
공허감을 없애는 두 번째 방법은 과정 중심의 삶을 사는 것 이다.
✅ 목표가 아니라, 과정에서 즐거움을 찾는 습관 만들기
✅ 결과를 위한 행동이 아니라,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는 태도 가지기
잘못된 예: ❌ “이 운동을 해서 몸매를 만들어야지” → 목표 중심
올바른 예: ✔ “이 운동을 하면서 내 몸의 변화를 느껴보자” → 과정 중심
잘못된 예: ❌ “이 책을 읽어서 더 똑똑해져야지” → 목표 중심
올바른 예: ✔ “이 책의 문장을 하나하나 음미하며 읽어보자” → 과정 중심
➡ 이런 태도를 가지면, 공허감은 점점 사라지고 충만함이 쌓인다.
3) 충만한 하루를 만드는 작은 습관들
강연에서는 매일의 작은 실천 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몰입 연습: 하루 한 가지 활동에 100% 집중하기
✅ 디지털 디톡스: 멀티태스킹을 줄이고 한 가지 경험에 몰두하기
✅ 경험의 기록: 하루 동안 가장 충만했던 순간을 일기나 노트에 적기
✅ 새로운 도전하기: 평소 하지 않던 경험을 시도하며 자아를 탐색하기
➡ 작은 실천이 쌓이면, 공허감은 점점 사라지고 충만한 삶 으로 바뀐다.
4. 결론: 충만감은 매일의 선택이다
눈앞의 경험을 충만하게 시작하는 것이다.
충만의 기쁨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공허감을 없앤다.
매일 매일 충만의 기쁨을 먹다 보면
하루가 1년이 되고, 2년이 되고, 3년이 되고,
30대, 40대, 50대가 되었을 때 돌아보면,
과거가 되어 있겠지만, 지난 날들에 대한 후회와 미련이 없을 것이다.
✅ 공허감을 없애는 방법은 간단하다.
➡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 집중하고, 몰입하는 삶을 사는 것.
✅ 충만감은 매일의 선택이다.
➡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인지, 지금 이 순간에 얼마나 몰입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실천하는 것 이다.
강연을 듣고 ‘좋은 강의였다’라고 생각만 하면 공허함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5. 목표 중심의 사고방식이 만든 공허함: 내적 동기 vs 외적 동기
1) 외적 동기에 의존하는 삶
- "높은 연봉을 받아야 한다"
-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직업을 가져야 한다"
- "사람들에게 인정받아야 한다"
💡 이런 목표는 타인의 기준에 맞춘 것이며, 목표를 이루어도 진짜 만족스럽지는 않다.
2) 내적 동기를 따르는 삶
- "이 일을 하는 과정이 즐겁다"
- "운동하는 자체가 좋다"
- "내가 배우고 성장하는 게 재밌다"
➡ 내적 동기를 따르면 목표 없이도 충분히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6. 목표 없이도 치열하게 살 수 있을까?
조남호 대표는 "목표 없이도 충분히 치열하게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중요한 것은 목표가 아니라, 경험을 채우는 삶을 사는 것이다.
✔ 목표 없이도, 내적 동기로 치열하게 살 수 있다.
✔ 목표가 아니라, 경험을 채우는 삶을 살 것.
✔ 비교하지 말고, 나만의 기준을 만들 것.
✔ 나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질 것.
💡 공허함은 없애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식으로 채워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선택은 오직 나만이 할 수 있다.
✨작은 것이라도 행동하려면 내가 적용 할 수 있는 일은?
1. 자격증 공부 : 자격증 공부하며 지격증 취득인 목표에 초점을 맞춰 살아가는것이 아니라 매일 노력하는 그 순간순간에 초점을 맞춰 살아가려고 노력하기
2. 책읽기 : 책을 단순히 몇권 몇장 많이 읽는 것이 아니라 책 읽은 날 좋은 문장 기록하고, 되새김하고, 곱씹기.
3. 기록하기 : 하루에 감사했던일 감사일기, 끈기있기 잘 참았던 일 기록하기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여행 일본어 길묻기 기초 회화 정리 (+ 한글 발음, 예문 포함) (0) | 2025.03.30 |
---|---|
제로웨이스트 라이프 실천 방법 & 입문 가이드 (0) | 2025.03.29 |
닥터라이블리 해독주스: 건강한 몸을 위한 최고의 선택!(연두스무디 만드는법, 레시피) (0) | 2025.03.12 |
단백질 쉐이크 추천: 내돈내산 후기, 진짜 맛있고 건강한 단백질 쉐이크 (1) | 2025.03.07 |
박용우 스위치온 다이어트 하는법, 실제후기(-5kg) 건강하게 다이어트 하는 방법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