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를 처음 접하면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차변(Debit)과 대변(Credit) 입니다. “차변이 왼쪽? 대변이 오른쪽?“이라고 외워도 막상 적용하려면 어렵죠. 이번 글에서는 차변과 대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보겠습니다.
⸻
1. 차변과 대변이란?
**차변(Debit, Dr.)**과 **대변(Credit, Cr.)**은 회계에서 거래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항상 같아야 합니다. 이를 복식부기(double-entry bookkeeping) 라고 하며, 회계의 기본 원칙입니다.
✅ 차변(Debit) → 장부의 왼쪽
✅ 대변(Credit) → 장부의 오른쪽
예를 들어, 회사를 운영하면서 현금을 100만 원 사용하여 사무용품을 구매했다면 장부에는 이렇게 기록됩니다.
(차변) 사무용품비 1,000,000원
(대변) 현금 1,000,000원
즉, 회사 자산(현금)이 줄어든 만큼 비용(사무용품비)이 발생한 것입니다.
⸻
2. 차변과 대변의 기본 원칙
차변과 대변이 헷갈린다면 계정과목별 증감 원칙을 기억하면 됩니다.
📊 차변 / 대변에 따른 계정과목 증감표
자산 (Assets) | 증가 | 감소 |
부채 (Liabilities) | 감소 | 증가 |
자본 (Equity) | 감소 | 증가 |
수익 (Revenue) | 감소 | 증가 |
비용 (Expenses) | 증가 | 감소 |
✅ 자산과 비용은 차변(왼쪽)이 증가
✅ 부채, 자본, 수익은 대변(오른쪽)이 증가
즉, 자산과 비용은 차변에 기록할 때 증가하고, 부채와 수익은 대변에 기록할 때 증가합니다.
⸻
3. 차변과 대변 예제
(1) 자산이 증가하는 경우
A 회사가 은행에서 500만 원을 대출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차변) 현금 5,000,000원
(대변) 차입금 5,000,000원
• 현금(자산)이 증가 → 차변
• 차입금(부채)이 증가 → 대변
(2)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A 회사가 전기요금 20만 원을 납부했다면?
(차변) 수도광열비 200,000원
(대변) 현금 200,000원
• 비용(수도광열비)이 증가 → 차변
• 현금(자산)이 감소 → 대변
(3)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A 회사가 제품을 판매하고 300만 원을 현금으로 받았다면?
(차변) 현금 3,000,000원
(대변) 매출 3,000,000원
• 현금(자산)이 증가 → 차변
• 매출(수익)이 증가 → 대변
⸻
4. 차변과 대변 쉽게 외우는 법
✅ 자산과 비용은 차변(왼쪽)에서 증가
✅ 부채, 자본, 수익은 대변(오른쪽)에서 증가
이 원칙을 기억하면 대부분의 회계 거래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5. 마무리
차변과 대변은 회계의 기초이지만 처음엔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리를 이해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차변(Debit)은 자산·비용 증가
✔ 대변(Credit)은 부채·자본·수익 증가
✔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 금액이 같아야 함
이제 차변과 대변의 개념이 조금 더 명확해지셨나요? 실무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니 꼭 익혀두세요!
'경영,회계,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 부가세 신고 가이드: 매입세금계산서 종류와 신고 방법 (0) | 2025.03.28 |
---|---|
인터넷 매출 부가세 신고 시 현금영수증 승인번호로 업체 구별하는 방법 (0) | 2025.03.28 |
법인 결산 |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 회계처리 방법 (0) | 2025.03.20 |
법인 결산 후 조정: 반드시 준비해야 할 주요 자료 총정리 (0) | 2025.03.18 |
고용·산재보험 입사일 수정 신고: 피보험자·고용정보 내역 정정 신청서 작성 및 제출 방법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