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회계,세무

회계 기초: 차변과 대변 쉽게 이해하기

by 정보통세상만사 2025. 3. 20.
728x90
반응형


회계를 처음 접하면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차변(Debit)과 대변(Credit) 입니다. “차변이 왼쪽? 대변이 오른쪽?“이라고 외워도 막상 적용하려면 어렵죠. 이번 글에서는 차변과 대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차변과 대변이란?


**차변(Debit, Dr.)**과 **대변(Credit, Cr.)**은 회계에서 거래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항상 같아야 합니다. 이를 복식부기(double-entry bookkeeping) 라고 하며, 회계의 기본 원칙입니다.

✅ 차변(Debit) → 장부의 왼쪽
✅ 대변(Credit) → 장부의 오른쪽

예를 들어, 회사를 운영하면서 현금을 100만 원 사용하여 사무용품을 구매했다면 장부에는 이렇게 기록됩니다.

(차변) 사무용품비 1,000,000원  
(대변) 현금 1,000,000원  

즉, 회사 자산(현금)이 줄어든 만큼 비용(사무용품비)이 발생한 것입니다.



2. 차변과 대변의 기본 원칙


차변과 대변이 헷갈린다면 계정과목별 증감 원칙을 기억하면 됩니다.

📊 차변 / 대변에 따른 계정과목 증감표

계정과목차변 (↑ 증가)대변 (↓ 감소)
자산 (Assets) 증가 감소
부채 (Liabilities) 감소 증가
자본 (Equity) 감소 증가
수익 (Revenue) 감소 증가
비용 (Expenses) 증가 감소



✅ 자산과 비용은 차변(왼쪽)이 증가
✅ 부채, 자본, 수익은 대변(오른쪽)이 증가

즉, 자산과 비용은 차변에 기록할 때 증가하고, 부채와 수익은 대변에 기록할 때 증가합니다.



3. 차변과 대변 예제


(1) 자산이 증가하는 경우

A 회사가 은행에서 500만 원을 대출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차변) 현금 5,000,000원  
(대변) 차입금 5,000,000원  

• 현금(자산)이 증가 → 차변
• 차입금(부채)이 증가 → 대변

(2)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A 회사가 전기요금 20만 원을 납부했다면?

(차변) 수도광열비 200,000원  
(대변) 현금 200,000원  

• 비용(수도광열비)이 증가 → 차변
• 현금(자산)이 감소 → 대변

(3)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A 회사가 제품을 판매하고 300만 원을 현금으로 받았다면?

(차변) 현금 3,000,000원  
(대변) 매출 3,000,000원  

• 현금(자산)이 증가 → 차변
• 매출(수익)이 증가 → 대변



4. 차변과 대변 쉽게 외우는 법


✅ 자산과 비용은 차변(왼쪽)에서 증가
✅ 부채, 자본, 수익은 대변(오른쪽)에서 증가

이 원칙을 기억하면 대부분의 회계 거래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차변과 대변은 회계의 기초이지만 처음엔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리를 이해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차변(Debit)은 자산·비용 증가
✔ 대변(Credit)은 부채·자본·수익 증가
✔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 금액이 같아야 함

이제 차변과 대변의 개념이 조금 더 명확해지셨나요? 실무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니 꼭 익혀두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