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회계,세무

법인 결산 |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 회계처리 방법

by 직장인 정보 2025. 3. 20.
728x90
반응형


회계를 하다 보면 이전 회계연도의 오류를 발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 계정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오류 수정의 개념과 구체적인 회계처리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오류 수정이란?


전기오류 수정(前期誤謬修正,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이란 이전 회계연도의 재무제표에 반영된 수익·비용·자산·부채 등이 잘못 기재되었거나 누락된 경우 이를 수정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오류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회계처리 누락: 발생한 거래를 장부에 반영하지 않은 경우
✅ 분개 오류: 계정과목을 잘못 기재한 경우
✅ 금액 오류: 숫자를 잘못 기입한 경우
✅ 회계정책 적용 오류: 잘못된 회계처리 기준을 적용한 경우

회계기준(K-IFRS,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전기오류를 발견한 경우 소급법(Retrospective Approach) 을 적용하여 수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


전기오류를 수정할 때, 손익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 계정을 사용합니다.

(1) 전기오류수정손실

이전 연도의 오류로 인해 추가로 인식해야 할 비용이 발생하거나, 이미 인식된 수익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 비용 과소계상 오류 수정
✅ 수익 과대계상 오류 수정

예시 1:
A 회사가 전년도 감가상각비 500만 원을 누락한 경우

(차) 전기오류수정손실 5,000,000  
    (대) 감가상각누계액 5,000,000  

이제야 감가상각비를 반영했기 때문에, 전기오류수정손실로 처리합니다.

예시 2:
전년도 매출 1,000만 원을 잘못 인식한 경우 (실제로는 매출이 없었음)

(차) 전기오류수정손실 10,000,000  
    (대) 매출 10,000,000  





(2) 전기오류수정이익

이전 연도의 오류로 인해 추가로 인식해야 할 수익이 발생하거나, 이미 인식된 비용을 줄여야 하는 경우 사용합니다.
✅ 비용 과대계상 오류 수정
✅ 수익 과소계상 오류 수정

예시 3:
전년도에 광고비 200만 원을 이중으로 계상한 경우 (실제 지출은 200만 원이었으나 400만 원을 기록했음)

(차) 광고선전비 2,000,000  
    (대) 전기오류수정이익 2,000,000  

광고비를 과다 계상했으므로, 이를 수정하면서 전기오류수정이익을 인식합니다.

예시 4:
전년도에 누락된 이자수익 300만 원을 추가로 반영하는 경우

(차) 미수이자 3,000,000  
    (대) 전기오류수정이익 3,000,000  





3. 전기오류 수정 시 주의할 점




✅ 소급법 적용: 전기오류는 발견 즉시 수정하되, 해당 오류가 발생한 연도의 재무제표를 다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세무 신고 반영 필요: 세무 신고와 관련된 사항이라면 수정신고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주석 공시: 중요 오류의 경우, 수정 내용을 재무제표 주석에 공시해야 합니다.



4. 마무리


전기오류 수정은 기업의 재무정보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오류를 발견하면 적절한 회계처리를 통해 전기오류수정손실과 전기오류수정이익을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세무 신고 및 공시 의무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혹시 실무에서 전기오류 수정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