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계산기 메모리 기능(MC, MAR, M+, M-) 사용법

by 직장인 정보 2025. 3. 20.
728x90
반응형

일반 계산기에는 단순한 사칙연산 기능 외에도 메모리 기능이 있습니다. 특히, MC, MAR, M+, M- 버튼은 계산을 보다 편리하게 도와주는 기능이지만, 이를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계산기의 메모리 기능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MC (Memory Clear) - 메모리 초기화

MC 버튼은 현재 계산기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즉, 계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값이 필요 없을 때 이 버튼을 눌러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

  1. M+를 사용하여 50을 저장함.
  2. MC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50이 삭제됨.

2. MAR (Memory Recall) - 메모리 불러오기

MAR 버튼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불러오는 기능입니다. 저장된 숫자를 다시 확인하거나 추가적인 계산을 할 때 유용합니다.
사용 예시:

  1. M+를 사용하여 100을 저장함.
  2. MAR 버튼을 누르면 100이 화면에 표시됨.

3. M+ (Memory Plus) - 메모리에 숫자 추가

M+ 버튼은 현재 화면에 있는 숫자를 메모리에 더하는 기능을 합니다.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연속된 덧셈을 할 때 유용합니다.
사용 예시:

  1. 30을 입력하고 M+를 누르면 30이 메모리에 저장됨.
  2. 20을 입력하고 M+를 누르면 기존 30에 20이 더해져 메모리에는 50이 저장됨.

4. M- (Memory Minus) - 메모리에서 숫자 빼기

M- 버튼은 현재 화면에 있는 숫자를 메모리에서 빼는 기능을 합니다.
사용 예시:

  1. M+를 사용하여 100을 저장함.
  2. 40을 입력하고 M-를 누르면 100에서 40이 빠져, 메모리에는 60이 저장됨.

메모리 기능을 활용한 예제

예제 1: 단순한 덧셈과 뺄셈 활용

문제: 50 + 30 + 20을 저장하고, 25를 빼고, 최종 결과를 확인하기

  1. 50 입력 후 M+ (메모리에 50 저장)
  2. 30 입력 후 M+ (메모리에 80 저장)
  3. 20 입력 후 M+ (메모리에 100 저장)
  4. 25 입력 후 M- (메모리에 75 저장)
  5. MAR 버튼을 눌러 결과(75) 확인

예제 2: 평균 계산

문제: 3개의 점수(80, 90, 85)의 평균을 구하기

  1. 80 입력 후 M+ (메모리에 80 저장)
  2. 90 입력 후 M+ (메모리에 170 저장)
  3. 85 입력 후 M+ (메모리에 255 저장)
  4. MAR 버튼을 눌러 총합(255) 확인
  5. 255 ÷ 3 = 85 (평균 값 계산)

예제 3: 쇼핑 비용 계산

문제: 여러 개의 물건 가격(12000원, 25000원, 18000원)을 더한 후 할인(5000원) 적용

  1. 12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12000 저장)
  2. 25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37000 저장)
  3. 18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55000 저장)
  4. 5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50000 저장)
  5. MAR 버튼을 눌러 최종 금액(50000원) 확인

예제 4: 여행 예산 관리

문제: 여행 예산 200,000원에서 숙박비(80,000원), 교통비(30,000원), 식비(50,000원) 차감 후 남은 예산 확인

  1. 200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200000 저장)
  2. 80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120000 저장)
  3. 30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90000 저장)
  4. 50000 입력 후 M- (메모리에 40000 저장)
  5. MAR 버튼을 눌러 남은 예산(40000원) 확인

결론

계산기의 메모리 기능을 잘 활용하면 반복적인 계산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특히, M+와 M- 기능을 이용하면 여러 수를 빠르게 더하고 뺄 수 있으며, MAR을 사용하여 저장된 값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계산기를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계산을 해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