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회계,세무

📊 외부감사 대상 기준, 우리 회사도 해당될까?

by 정보통세상만사 2025. 4. 3.
728x90
반응형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우리 회사도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하게 되는 시점이 옵니다. 특히 해가 바뀌면 관련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에, 최신 기준을 체크하는 게 중요하죠.
이번 글에서는 외부감사 대상 기준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회계팀, 경영진, 창업자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외부감사란?

외부감사란,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외부의 독립된 감사인(회계법인 등)**이 검토하는 절차예요.
왜 필요할까요?

  • 투자자나 금융기관이 우리 회사의 재무 상태를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어야 하고,
  •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기업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도 중요하죠.

✅ 외부감사 대상 기준 총정리

외부감사 대상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해요.

1. 기본 요건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 자산총액 500억 원 이상
  • 매출액 500억 원 이상

2. 복수요건 충족 시

아래 세 가지 요건 중 2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에도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항목 기준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
부채총액 70억 원 이상
매출액 100억 원 이상
상시 근로자수 100명 이상

✔ 예시

자산이 130억, 부채가 75억인 회사는 종업원이 50명이어도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반대로 자산이 150억이어도 부채와 종업원이 기준에 미달되면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 유한회사 외부감사 기준도 따로 있어요!

주식회사뿐 아니라, 유한회사도 외부감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매출액이 500억 원 이상, 또는
  • 아래 요건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면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항목 기준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
부채총액 70억 원 이상
매출액 100억 원 이상
종업원 수 100명 이상
사원 수 50명 이상

⏰ 외부감사인 선임 기한은?

감사 대상이라면 감사인(회계법인 등)을 선임하는 기한도 중요합니다!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45일이내, 단, 처음 외부감사대상이 되는 첫 해는 4개월 이내에 선임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2023년말 재무제표 기준으로 2024년도 외부감사대상이 처음 되는 경우 2024년 4월말까지 외부감사인을 선임하여야 하며, 2025년에도 외부감사대상인 경우에는 2025년 2월 14일까지 외부감사인을 선임하여야 합니다.

  • 12월 결산법인 기준:
    2025년 1월 1일에 사업연도가 시작되었다면, 2월 14일까지 외부감사인을 선임해야 합니다.
  • 감사위원회 설치 대상 기업은 사업연도 시작 전까지 선임해야 하므로 더욱 주의해야 해요.

⚠ 외부감사 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감사 대상인데 감사를 받지 않으면? 생각보다 리스크가 큽니다.

  • 과태료 부과
  • 세무조사 가능성 증가
  • 투자 유치 또는 대출 심사 시 불이익
  • 주주나 이사의 민·형사 책임 가능성

믿고 맡길 수 있는 회계법인과의 협력은 필수겠죠?


✅ 정리해볼까요?

체크리스트 항목 해당 여부

자산이 120억 이상인가요?
부채가 70억 이상인가요?
직원 수가 100명 이상인가요?
자산이나 매출이 500억 원 이상인가요?

두 개 이상에 체크된다면 → 외부감사 대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올해 말까지 회계 자료를 다시 확인해보는 게 좋겠네요.


✨ 마무리하며

외부감사는 단순히 의무를 넘어서, 우리 회사의 신뢰도와 기업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2025년부터 바뀌는 기준을 미리 체크하고 준비하면, 더 당당하고 건강한 경영이 가능해집니다.

 

728x90
반응형